You are currently viewing [언론보도] 큰 맘 먹고 한 임플란트…`보철물 탈락·염증` 불만 최다

[언론보도] 큰 맘 먹고 한 임플란트…`보철물 탈락·염증` 불만 최다

바이러스 하나가 유럽과 미국을 강타하면서 전 세계를 대공황의 두려움에 떨게 만들고 있다. 하나의 경제권인 유로존 국가들마저 속속 국경 폐쇄를 하는 것은 코로나19의 강력한 전파력 때문이다. 안정세로 접어든 중국의 장쑤성, 저장성, 허난성 등에서는 치과 진료마저도 금지한 바 있다. 접촉이나 비말(침방울) 외에 치과 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이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코로나19는 큰 상처를 남기고 치유되겠지만 의료 분야의 사후 비용은 사전 예방에 비교할 수 없이 크다는 교훈을 남긴다. 진료 현장에서 코로나19 상황을 안타깝게 지켜보며 치과 진료 과정에서 사용하는 공기로 인한 전파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무엇보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공기는 입안으로 직접 분사된다는 점에서 깨끗함을 기반으로 한 안전성이 극히 요구된다. 하지만 치과 진료실을 보면 상황은 심각하다.

치과 기계실은 보통 어둡고 습한 곳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계실 내 하수도나 석션 장비로부터 기원된 미생물, 수분, 유분, 악취를 포함한 오염된 공기가 에어 컴프레서로 압축된 후 특별한 여과 과정 없이 그대로 전달돼 사용될 수 있다. 오염된 공기가 치과 진료 중 여과 없이 그대로 입안으로 직접 분사될 수 있는 셈이다.

미국치과협회는 이미 1996년에 진료용 압축공기의 감염예방 기준을 마련해 뒀다. 치과 진료 시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품질 규정을 만들어 분진, 습기, 유분, 냄새 등의 허용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에 비하면 국내 치과 진료실은 깨끗한 공기에 대한 인식이 결여돼 당국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최근 임플란트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임플란트 시술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느냐도 중요한 포인트다. 물론 임플란트 외에도 브리지, 틀니 등 다양한 시술방법이 존재하지만 사람들이 유독 임플란트에 집중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임플란트 필요성은 축구에 비유할 수 있다. 레드카드를 받아 한 명의 선수가 퇴장당하면 나머지 선수들은 그 선수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더 많이 더 넓게 뛰어야 한다는 부담감과 함께 부상 위험이 더 커지게 된다.

임플란트는 당장 비용이 부담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해당 치아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주변 치아의 전체적인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 예후를 알 수 없는 치아에 대한 치료비와 추후 주변 치아에 문제가 발생할 시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해당 치아에 대한 임플란트 치료 비용이 더욱 경제적일 수 있다.

일반적인 보철치료 수명이 7년 정도인 것과 임플란트의 10년 성공률이 90%를 넘을 정도로 높은 것을 고려하면 적절한 시기의 임플란트 식립은 자연치아처럼 편히 씹고 맛보며 즐기는 일상과 신체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치료법이라고 볼 수 있다.